오늘도! 안녕하세요😁
20세기를 대표하는 추상 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 화가
색면 회화(Color Field Painting) 화가
마크 로스코(1903-1970)를 만나 봅시다
개인적으로
마크 로스코(1903-1970)와 이우환(1936 - ), 두 작가는 공통점이 많아 보였는데요~
저와 비슷한 생각을 가진 큐레이터분이 계셨는지
"페이스 갤러리(Pace Gallery) 서울"에서
두 작가의 작품을 동시에 전시*한 적도 있었습니다
*페이스 갤러리 서울, 「조응(Correpondence)」 2024.09.04-10.26.
그럼
마크 로스코(1903-1970)의 예술세계로 떠나 봅시다
✈️✈️✈️
1. WHO IS, 마크 로스코(MARK ROTHKO, B. 1903 - D. 1970)
1903년 9월 5일
러시아 제국(現, 라트비아) 드빈스크에서
"마르쿠스 야코블레비치 로스코비츠(Ма́ркус Я́ковлевич Ротко́вич)"로 태어났습니다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10살 때 이주했으며
예일대학교를 중퇴한 후
🇺🇸뉴욕의 Art Students League에서 미술교육을 받았고
정규 미술교육은 받지 못했으나
1923년부터 🇺🇸뉴욕에서 예술활동을 시작❗️
독자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하며 명성을 얻게 됩니다
그때 만난 멘토 "밀턴 에버리(Milton Avery)"로 부터
절제된 형상, 미묘한 색감 등을 영향 받기도 했습니다
1938년, 미국 시민권 획득 후
"마크 로스코(Mark Rothko)"로 개명했으며
유럽 미술과 차별화된 미국만의 독특한 양식을 개척하고자 많은 시도가 있었고
그렇게 탄생한 추상 표현주의에서
마크 로스코(1903-1970)는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하게 됩니다
하지만, 마크 로스코(1903-1970)는
1970년 2월 25일
스스로 생을 마감하며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
2. 초기실험, 색면, 관계
"초기실험"
우리가 알고 있는 마크 로스코(1903-1970) 스타일
색면 회화(Color Field Painting)가 나오기 이전
1920년대-1930년대
누드, 자화상, 초상화, 풍경화 등 수백 점의 그림을 종이와 캔버스에 그렸고
흑연, 잉크, 투명·불투명 수채화, 유화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실험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평범하게 그려진 초상화, 풍경화가 아님을
단번에 알 수 있습니다
마크 로스코(1903-1970)는
인간의 존재, 본질, 감정, 고통을 탐구하고
채색보다 주제와 서사에 더 집중하며
작품을 그리다보니
초현실적이고 표현주의적 느낌이 물씬 풍기며
다소 어둡고 거친, 우울한, 현실과 비현실이 혼재된 몽환적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색면"
다양한 실험과정을 거친 마크 로스코(1903-1970)는
'인물 형상'만으로는 인간 내면의 깊은 감정을 표현할 수 없다고 느꼈습니다
그리스 로마 신화 등을 기반으로
상징적이고 추상적인 도상을 사용하며
"예술은 인간의 본질적인 감정을 표현해야한다"고 선언
표현의 형태가 점점 단순화되고
구체적 이미지나 상징이 사라졌으며
부유하는 색 덩어리로 변하게 되면서
우리가 마크 로스코(1903-1970)하면 떠오르는 색면회화가 탄생됩니다
마크 로스코(1903-1970)는 이 색 덩어리를 통해 관람객이 작품을 '읽기' 보다 '느끼기'를 바랬다고 합니다
"관계"
마크 로스코(1903-1970)는 그림을 통해
영적이고 초월적인 경험을 관람객에게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작품을 감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마크 로스코(1903-1970)가 관람객이 작품 앞에서 조용히 감상하며
자신의 내면과 마주하도록 유도한 장치도 함께 알면
마크 로스코(1903-1970) 작품을 감상하는데 재미가 배가 될 것 같습니다
마크 로스코(1903-1970)는 작품을 제작할 때
아주 큰 사이즈로 제작하여 관람객이 작품 안에 '들어간' 듯한 느낌을 유도하고
전시할 때는 작품을 다소 낮게 걸고, 어둡고 조용한 환경을 조성하여
일종의 명상처럼 느끼게 만들었습니다
마크 로스코(1903-1970)의 치밀한 계산하에
우리는 작품과 관계를 맺고
마크 로스코(1903-1970)와 관계를 맺으며
그가 작품을 통해 전하고자 했던 메시지
자연스럽게 느끼게 됩니다
“내 그림은 비극, 황홀경, 죽음이라는 인간의 근본적인 감정을 표현한다”
3. 마치며
비록, 스스로 생을 마감하며
우리와 빠른 이별을 맞이한
마크 로스코(1903-1970)
우울증, 심장병, 별거 등 다양한 이유로
죽음의 그림자가 그에게 다가 왔을 때
그의 그림은 어두운 색조, 검정과 보라, 짙은 붉은색 등으로 가득 찼다고 합니다
혹시라도 주변에, 아니면 이 글을 읽고 계신 당신이
우울감이나 어려움을 겪고 계시다면,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도움을 요청하시길 바랍니다
*자살 예방 상담 전화: ☎️ 1393 (24시간 운영) / 정신건강 상담 전화: ☎️ 1577-0199
저는 개인적으로 우울감이나 상실감을 겪을 때
미술관, 갤러리를 방문하여 위로를 받았고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마크 로스코(1903-1970)의 마지막 프로젝트
미국 휴스턴에 위치한 "로스코 채플 (Rothko Chapel)"을 소개하며
글을 마치고자 합니다
*주소 : 1410 Sul Ross St, Houston, TX 77006, USA
1964년부터 1967년동안 작업을 했고 1971년 공식개관한
마크 로스코(1903-1970)는 평소 “예술은 인간의 영혼을 다루는 성스러운 행위”라고 여겼기에
자신의 그림이 단순한 사각물이 아닌 감정적·영적 체험의 공간이 되기를 바랐습니다
즉, 모든 사람이 조용히 '내념을 마주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미국의 부호이자 예술 후원가인 존과 도미니크 메세스 부부의 도움으로 탄생하였습니다
14점의 대형 작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대부분 짙은 자주색, 검정, 보라 계열로, 매우 심오하고 명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내어
관람객이 각 작품과 조용히 교감하며, 깊은 명상에 잠길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고 하니
보스톤에 방문할 기회가 있으시면 꼭! 방문해 보시길 바랍니다
(저도 가고 싶습니다!😭)
Rothko Chapel
Earth Day Poetry Fest Tuesday, April 22 | 6:30 PM Join us for an evening of Earth Day inspired performances by Meta4 Houston, the face of the youth poetry slam scene, and other local Houston favorites.
www.rothkochapel.org
혹시 작품을 감상하시며
👀
눈치채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그의 사망 후
마크 로스코(1903-1970) 작품들은
로스코 재단(Rothko Foundation)에 의해 관리되었으나
그의 예술적 유산을 보존하고 대중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주요 미술관에 작품을 기증하였습니다
👏👏👏
재단의 기증 덕분에
워싱턴 D.C.에 위치한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National Gallery of Art, NGA)는
마크 로스코(1903-1970)의 작품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마크 로스코(1903-1970) 작품 이미지의 출처가
대부분 NGA인 이유이기도 합니다
NGA는
관람객들이 그의 색면 추상화의 깊이와 감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된
그를 위한 특별한 공간, 로스코 룸(Rothko Room)을 마련하였고
마크 로스코(1903-1970)의 작품을 감상하는 데 최적화된 조명과 분위기를 제공하고 있으니
워싱턴 D.C.에 방문하실 기회가 있다면
꼭❗️방문하셨으면 합니다😄
National Gallery of Art
Welcome to the National Gallery of Art
www.nga.gov
'인간의 존재, 본질, 감정, 고통'을 예술로 승화시킨
마크 로스코(1903-1970)를 기억하며
다음에 또 다른 작가와 작품을 통해 만나요~
👋👋👋
구독🔔, 댓글👍, 좋아요❤️
🙏🙏🙏🙏
궁금하거나 알고싶은 작가있으시면
언제든 말씀 부탁드리며
좋은 글로 보답하겠습니다
🙇♂️🙇♂️🙇♂️🙇♂️🙇♂️
'나만의 작가 컬렉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R] 장욱진 (B. 1917 - D. 1990) (4) | 2025.04.20 |
---|---|
[ITA] 마우리치오 카텔란 Maurizio Cattelan (B. 1960 - ) (0) | 2025.04.13 |
[KOR] 하종현 (B. 1935 - ) (0) | 2025.03.31 |
[KOR] 박수근 (B. 1914 - D. 1965) (0) | 2025.03.30 |
[AUS] 론 뮤익 Ron Mueck (B. 1958 - ) (0) | 2025.03.30 |